레이블이 지혜비타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지혜비타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3월 15일 월요일

이중성의 회랑(回廊)



"나는 불행하다. 그래서 나는 행복해야 한다."

그런데 나는 행복해야 한다는 바로 그 요구 속에 불행이 있다. 착해지려고 노력할 때, 바로 그 선(善)인 그것이 반대인 악(惡)인 것이다. 긍정된 모든 것들은 그것 자체의 반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극복하고자 하는 그것을 강화시킨다.

당신이 진실 또는 실재를 체험하고 싶어할 때 그 요구는 바로 현재 '있는 것'에 대한 당신의 불만에서 나오는 것이며, 따라서 그 요구는 요구와 반대되는 것을 낳는다. 그리고 그 반대되는 것 속에는 '있었던 것'이 들어 있다.

그래서 이 끊임없는 요구에서 벗어나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중성의 회랑(回廊)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당신 자신을 아주 완전하게 앎으로써 마음이 더 이상 뭔가를 찾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 마음은 체험을 요구하지 않는다. 즉 그것은 도전을 바라지 않으며 도전을 알지도 못한다. 그런 마음은 '나는 잠들어 있다' 거나 '나는 깨어 있다' 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완전히 있는 그대로다. 오직 좌절하고 좁고 얕고 제약된 마음만이 항상 더 많은 것을 얻고자 한다. 그러면 이 세상에서 '더 많이' 라는 말 없이, 이 끝없는 비교 없이 이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 정말 그럴 수 있을까? 그러나 이것은 자기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3월 11일 목요일

생각의 시작



생각이 어떻게 시작되는가를 알게 되면 생각을 통제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일생 동안 우리의 생각을 통제하느라고 많은 시간과 정력을 소모한다.

"이건 좋은 생각이니, 이것에 관해 많이 생각해야 해, 이건 추한 생각이니, 이걸 억제해야 해."

한 생각과 다른 생각, 한 욕망과 다른 욕망 사이에 항상 싸움이 계속되고, 한 쾌락이 다른 모든 쾌락을 지배한다. 그러나 생각의 시작에 대한 인식이 있으면, 생각 속에는 모순이 없게 된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3월 5일 금요일

관찰자와 관찰되는 자



관찰자는 검열관이고 경험자이고 평가자이며, 다른 이미지들을 정복하거나 종속시키거나 또는 완전히 파괴하고 싶어하는 심판자다.

그 다른 이미지들은 관찰자에 의한 판단, 견해, 결론의 결과이며 관찰자는 모든 다른 이미지들의 결과다. 결국 관찰자는 관찰되는 자인 것이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3월 4일 목요일

생각의 처음은 무엇인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아주 분명히 보고 싶다면, 마음의 모든 편견, 지껄임, 대화, 이미지, 그림 따위들 없이 아주 고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보기 위해서는 그것들을 치워버려야 한다. 그리고 당신이 생각의 처음을 볼 수 있는 것은 오직 침묵 속에서다.

그러므로 찾고 질문하고 대답을 기다릴 때는 볼 수가 없다. '생각의 처음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하면서 존재의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조용할 때에만, 당신은 그 침묵 속에서 생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기 시작할 것이다.

- 크리슈나무르티


사랑을 만나기 위해 필요한 것



마음은 연습없이, 생각 없이, 강제 없이, 책 없이, 선생이나 지도자 없이 사랑을 만날 수 있는가?

내 생각에는 한 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그것은 동기 없는 정열이다. 즉 어떤 개입이나 집착의 결과가 아닌 정열, 탐욕이 아닌 정열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결코 사랑을 알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은 완전한 자기 포기가 있을 때에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얻으려고 하는 마음은 정열적인 마음이 아니기 때문에 사랑을 얻으려는 노력 없이 사랑과 만나는 것이 그것을 찾는 유일한 길이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3월 3일 수요일

사랑이 아닌 것들



당신이 여전히 찾아내고자 한다면 당신은 공포는 사랑이 아니라는 것, 의존은 사랑이 아니라는 것, 질투는 사랑이 아니라는 것, 책임과 의무는 사랑이 아니라는 것, 자기 연민은 사랑이 아니라는 것, 사랑 받지 못함에 대한 괴로움은 사랑이 아니라는 것, 겸손이 자만의 반대인 것만큼 사랑은 증오의 반대가 아니라는 것 등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당신이 이 모든 것을 없앨 수 있다면, 즉 강제로가 아니라 빗물이 나뭇잎에서 여러 날 쌓인 먼지를 씻어내듯이 그것들을 씻어낼 수 있다면, 비로소 당신은 인간이 항상 목마르게 찾는 그 기묘한 꽃을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24일 수요일

용서 Forgiveness



Forgiveness is all-powerful. Forgiveness heals all ills.


- Catherine Ponder



용서는 전능합니다. 용서는 모든 병을 치유합니다.


- 캐서린 폰더

2010년 2월 21일 일요일

아무도 없습니다 There are no one



None are so poor that they have nothing to give...and none are so rich that they have nothing to receive.


- John Paul II



베풀 것이 아무것도 없을 만큼 가난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리고 받을 것이 아무것도 없을 만큼 부자인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 요한 바오로 2세



2010년 2월 20일 토요일

이 세상의 진짜 고통 the very real suffering in this world



I do not mean to gloss over or discount the very real suffering in this world. Nevertheless, when something bad happens and we feel we have no control over the tragedy itself, we still have some control over our responses. We can lash out in bitterness and anger against the unfairness of life that has deprived us of pleasure and joy. Or, we can look for good in unexpected sources, even our apparent enemies.


- Philip Yancey



나는 이 세상의 진짜 고통에 대해 얼버무리고 넘어가려는 것도 무시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어떤 나쁜 일이 일어날 때 우리는 그 비극 자체에 대해서는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우리의 반응을 통제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우리에게서 즐거움과 기쁨을 빼앗아간 삶의 불공평함에 대한 분노와 비통함 속에서 후려칠 수 있습니다. 또는, 기대하지 않았던 원료들과, 심지어 우리의 명백한 적들에게서 선함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 필립 얀시



2010년 2월 19일 금요일

미스테리이다 It is a mystery



It is a mystery why adults expect perfection from children. Few grown-ups can get through a whole day without making a mistake.


-  Marcelene Cox



왜 성인들이 아이들에게 완벽함을 기대하는지 미스테리이다. 소수의 어른들만이 하루 종일 실수 없이 지낼 수 있는데 말이다.  


- 마셀린 콕스



2010년 2월 18일 목요일

상처를 붙들고 있는 것과 놓아버리는 것 holding on to a hurt or releasing it



The difference between holding on to a hurt or releasing it with forgiveness is the difference between laying your head at night on a pillow filled with thorns or a pillow filled with rose petals.


-  Loren Fischer




상처를 붙들고 있는 것과 용서하고 놓아버리는 것과의 차이는 가시로 가득 채운 베게를 베는 것과 장미 꽃잎으로 가득 채운 베게를 베는 것과의 차이이다.


- 로렌 피셔  



2010년 2월 17일 수요일

진리는 길이 없는 대지이다




모든 길은 진리로 통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떤 사람은 힌두교도로서의 길을 갖고 있고 다른 사람은 기독교도로서의 길을, 또 다른 사람은 회교도로서의 길을 갖고 있어도 그들은 모두 같은 문 앞에서 만난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것은 보면 알다시피 너무도 어리석은 말이다. 진리는 길을 갖고 있지 않으며, 바로 그 점이 진리의 아름다움이다.

또한 진리는 살아 있다. 죽은 것은 정적(靜的)이기 때문에 길을 갖고 있지만, 진리란 살아 움직이는 것이어서 쉴 곳이 없다. 어떤 절이나 교회에도 없으며 어느 종교나 선생, 철학자 그 누구도 당신을 진리로 인도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당신은 이 살아 있는 것이 다름 아닌 있는 그대로의 당신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 당신은 분노, 잔인성, 폭력, 절망 그리고 고민과 슬픔 속에 살고 있다. 진리란 이 모든 것을 이해하는 데 있으며, 당신의 삶에 있는 이 모든 것을 바라보는 법을 배워야만 비로소 진리를 이해할 수 있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16일 화요일

자신을 직시하라



어떤 사람을 따르지 않을 때 당신은 매우 외롭다고 느낄 것이다. 그렇다면 외로워하라. 왜 외로움을 두려워하는가? 그것은 있는 그대로의 자신과 대면하기 때문이며, 자신이 공허하고 무디고 바보스럽고 추하고 죄스럽고 불안하다는 사실, 즉 왜소하고 겉을 꾸미고 들은 풍월로 사는 존재임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사실을 직시하라. 그것으로부터 도망치려 하지 말라. 도망치는 순간 두려움은 시작된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15일 월요일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들



이 터전, 이 삶이 우리가 아는 전부이며, 우리는 실존의 엄청난 싸움을 이해할 수 없는 나머지 그것이 두려워 여러가지 기묘한 방법으로 그것으로부터 도피하려고 한다. 또한 우리는 모르는 것을 두려워 한다. 죽음을 두려워 하고, 내일의 저편에 있는 것을 두려워한다. 결국 우리는 아는 것을 두려워하고 모르는 것도 두려워한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14일 일요일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하는 까닭



신이나 진리, 실재 또는 그것을 무엇이라고 부르든지 간에 그러한 존재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질문은 결코 책이나 성직자, 철학자 또는 구세주들로부터 그 해답을 얻을 수 없다. 자기 자신 이외의 그 누구도 대답할 수 있으며, 바로 이 점이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하는 까닭이다. 미숙함은 자신에 대해 완전히 알지 못하는 데서 나오며,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지혜의 시작이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13일 토요일

오랜 세월 우리는...



오랜 세월 우리는 선생들에 의해, 권위자들에 의해, 책과 성인들에 의해 마치 숟가락으로 떠먹여지듯 양육되었다. 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것들에 대해 말해주세요. 저 언덕들과 산 너머 그리고 지구의 저쪽에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는 그들의 설명을 듣고 우리는 만족해한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말에 의지해서 살며 우리의 삶이 경박하고 공허하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는 얻어들은 것으로만 사는 사람들이다. 늘 들은 바에 따라 살았고, 우리의 의도나 성향에 이끌려왔으며 여러 조건과 환경에 맞추어 억지로 모든 것을 받아들여 왔다. 우리는 많은 영향을 받아 생긴 하나의 결과이며, 우리 안에는 아무것도 새로운 것이 없고, 우리 자신을 위해 발견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 독창적이고 원래 모습 그대로인, 그리고 명징(明澄)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2월 12일 금요일

성품을 알아보는 시험 The true test of character



The true test of character is not how much we know how to do, but how we behave when we don't know what to do.


-  John Holt




성품을 알아보는 진정한 시험은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얼마나 알고 있느냐가 아닌,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모를 때 어떻게 행동하느냐이다.


- 존 홀트  



2010년 2월 11일 목요일

삶이란 무엇입니까? What is life?



What is life? It is the flash of a firefly in the night. It is the breath of a buffalo in the wintertime. It is the little shadow which runs across the grass and loses itself in the sunset.


-  Crowfoot



삶이란 무엇입니까? 삶은 한 밤 중에 날아다니는 반딧불이의 불빛과 같습니다. 삶은 추운 겨울날 버팔로가 내쉬는 숨과 같습니다. 삶은 초원을 가로지르다가 해질녁 사라지는 작은 그림자와 같습니다.


- 크로우풋



2010년 2월 10일 수요일

가장 위대한 힘 The greatest power



A consciousness of God releases the greatest power of all.


- Ernest Holmes, The Science of Mind




신의 의식은 가장 위대한 힘을 해방시킨다.


- 어네스트 홈즈, 『마음의 과학』 중에서



2010년 2월 9일 화요일

기적 수업 A Course in Miracles




Dream of your brother's kindnesses instead of dwelling in your dreams on his mistakes. Select his thoughtfulness to dream about instead of counting up the hurts he gave.


- A Course in Miracles



당신 형제의 실수에 대한 당신의 바램 속에 머물기 보다는 그의 친절함을 꿈꾸세요. 그가 당신에게 준 상처를 세아리기 보다는 그의 사려깊음에 대한 꿈을 선택하세요.


- 기적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