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관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관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월 31일 일요일

위안과 안전을 얻고자 하는 관계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우리들은 저마다 만족을 찾고 있는데,
국가에서든 개인에게서든 위안과 안전을 얻고자 하면 고립될 수 밖에 없고,
고립된 것은 갈등을 부른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1월 30일 토요일

사랑하면서도 소유하지 않을 수 있을까?




사랑하면서도 소유하지 않을 수 있을까?
우리는 자기 만을 위해 소유욕이 강한 사랑에 바탕을 둔 나머지
관계를 너무도 괴롭고 끔찍한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1월 29일 금요일

관계, 그리고 세계




문제는 세계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안에 있는 여러분이며,
그것이 문제를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그 문제가 확장되면
세계의 문제가 됩니다.

- 크리슈나무르티


2010년 1월 24일 일요일

관계를 필요로 하는 이유 Your need for relationship



We are each driven by a deep urge to form an intimate connection with the world around us and most of us do this through relationships. If you take a soul look at this, you will see that your need for relationship actually stems from your basic human need to overcome your earthly sense of separation.


- Caroline Reynolds



우리는 우리 주변의 세계와의 친밀한 연결을 형성하려는 깊은 충동에 의해 각자 움직입니다. 그리고 우리 대부분은 관계를 통해 이렇게 합니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내면 깊이 들여다 본다면, 관계를 필요로 하는 당신의 이유는 사실 분리의 세속적인 의미를 극복하기 위한 당신의 기본적인 인간 욕구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캐롤라인 레이놀즈  




2009년 5월 25일 월요일

환경이 아니라 자신을 변화시켜라

현재 자신이 겪고 있는 환경(사람, 상황)이 너무나 끔찍해서 미치겠는가? 할 수만 있다면 마음에 안 드는 사람은 모두 정신개조를 해 버리고 모든 것을 송두리째 바꿔버리고 싶은가? 지금의 환경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환경으로 바꾼다면(집을 나가던가, 관계를 끊어버리던가, 전공을 바꾸던가, 사표를 쓰던가) 자신이 원하는 진짜 인생을 살 수 있을 것 같은가?

 

누구나 살면서 이런 생각을 한 번 쯤 해 봤을 것이다. 하지만 바뀌어야 할 것은 환경이 아니다. 진짜 바뀌어야 할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환경은 우리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다. 즉 우리가 그토록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 것은 다름아닌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 거울에 비추는 자신의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거울을 깨 버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환경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바로 우리 자신을 대하는 태도이다. 환경을 탓하는 것은 우리 자신을 학대하는 것과 다름없다.

 

 

환경을 원망하는 이유는 가장 큰 이유는 지금 현재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능력이 부족한 것을 인정하는 것 대신 환경을 원망하는 것이 마음이 더 편하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실제로 변화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환경을 원망하는 실력이 높아지는 만큼 사실 자신은 그만큼 퇴보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환경은 원망할 것이 아니라 고마워해야 할 대상이다. 자신을 비추어 줄 환경이 없다면 인간에게는 더 이상의 성장도 배움도 없을 것이다. 정말 상상만 해도 끔직하다. 이제 환경을 탓하는 것을 멈추고 자문해 보라.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Relationship gardens 관계의 정원



Relationship gardens

 

"Our relationship is like a gardener's microclimate. If the conditions are right, both of us will grow healthily. I will nurture the ground to the best of my ability."

 

 

관계의 정원        

 

"우리 사이의 관계란 정원사가 만드는 특별한 인공기후환경(microclimate)과 같습니다. 여러가지 조건이 맞는다면, 우리 두 사람 모두 건강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나는 최선을 다해 정원을 보살필 것입니다."   




Time to move on 한 차원 성숙해야 할 시간


Time to move on

 

Exercising gratitude is a way of achieving closure in a relationship with someone who has departed from your life, but continues to haunt your thoughts. First, bring this person to mind. Review the role that they played in your life and the lessons that they taught you. Imagine thanking them for these lessons and offering them a gift to symbolize your gratitude. Feel the warmth of their gratitude for all that you have given them. After this interaction, see if you experience a sense of

completeness that allows you to move on.

 

 

한 차원 성숙해야 할 시간

 

감사함을 표현하는 일은 인연이 끝난 사람과의 관계를 잘 정리하는 방법이지만, 사람들에 대한 생각까지 끊지는 마세요. 우선, 관계를 정리한 사람을 떠올려 보세요. 그들과 어떻게 지냈었는지, 배운 것은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세요. 얻은 것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하며, 감사함을 상징하는 선물을 드리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입장을 바꿔 당신이 베푼 모든 것들에 대해 사람들이 느끼는 감사함의 따뜻한 온기도 느껴 보세요. 그 다음, 사람을 성숙시키는 충만감을 느끼게 되는지 보세요.